전체 글54 우주에는 몇 개의 은하가 있을까? – 우리의 위치를 찾아서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별들이 촘촘히 박혀 있는 듯 보인다. 하지만 우리가 보는 이 작은 별빛들조차 사실은 대부분 태양과 같은 항성들이며, 이 별들 다수가 모여 하나의 은하를 이루고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태양계에 속해 있고, 태양계는 다시 ‘은하수’ 또는 ‘우리 은하’로 불리는 거대한 은하의 일부다. 그런데 우리 은하 하나만 해도 약 2천억 개 이상의 별을 품고 있다고 하는데, 과연 우주 전체에는 이런 은하가 몇 개나 존재할까? 그리고 그 속에서 우리는 어디쯤에 위치해 있을까? 망원경이 밝혀낸 은하의 수, 그리고 그 한계과학자들이 본격적으로 은하의 수를 계산하기 시작한 것은 허블 우주망원경(Hubble Space Telescope)이 발사된 이후부터다. 1995년, 허블 망원경은 ‘허블 딥 필드.. 2025. 3. 24. 시간 여행은 가능할까? 아인슈타인이 말한 시간의 비밀 시간 여행은 영화나 소설에서 자주 등장하는 매력적인 소재다. 과거로 돌아가 후회를 지우거나, 미래를 미리 엿보고 싶다는 상상은 누구나 한 번쯤 해봤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시간 여행이 현실에서도 가능할까? 과학자들은 이 질문에 대해 진지하게 탐구해 왔고, 그 중심에는 현대 물리학의 거장 아인슈타인이 있다. 그는 시간을 고정된 것이 아닌, 상대적인 개념으로 바라보았고, 이것은 시간 여행에 대한 과학적 가능성을 열어주는 열쇠가 되었다. 시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1905년 아인슈타인은 특수 상대성 이론을 발표하면서 시간의 개념에 대한 기존의 생각을 완전히 뒤엎었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빛의 속도는 어떤 관측자에게도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이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공간과.. 2025. 3. 24. 우주의 탄생, 빅뱅은 어떻게 일어났을까? “모든 것은 한 점에서 시작되었다”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이 우주. 수십억 개의 은하, 별, 행성, 그리고 지구 위의 우리 자신까지.모든 것은 도대체 어디서, 어떻게 시작된 걸까?과학은 이에 대한 놀라운 설명을 가지고 있다. 그것이 바로 “빅뱅(Big Bang)”이다. 하지만 빅뱅은 단순히 “펑!” 하고 터졌다는 의미는 아니다. 오늘 이 글에서는 빅뱅이란 무엇이며, 우주의 시작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알아보자. 빅뱅이란 ‘폭발’이 아니다많은 사람들이 ‘빅뱅’을 하나의 거대한 폭발로 생각한다. 마치 어두운 공간 어딘가에서 무엇인가가 “펑!” 하고 터지며 우주가 탄생한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과학적으로 빅뱅은 ‘공간 자체의 팽창’을 의미한다. 즉, 기존의 빈 공간 안에서 폭발이 일어난 게 아니라, 공간 그 자.. 2025. 3. 24. 우주는 어디까지 있을까? 끝이 없는 공간에 대한 상상 “우주는 어디까지 있을까?”이 질문은 단순한 호기심을 넘어, 인간의 상상력과 철학을 자극해온 가장 오래된 미스터리 중 하나다.어릴 적 밤하늘을 올려다보며 끝없이 이어지는 별들의 행렬을 바라보다 보면,자연스럽게 이런 생각이 떠오르곤 한다."저기 끝에는 뭐가 있을까?"이 글에서는 우리가 알고 있는 과학적 관점과, 그 너머의 상상을 함께 탐험해보려 한다.어쩌면 답은 없을지 모른다. 하지만 그 질문 자체가 우주를 이해하려는 우리만의 여정이니까. 우주는 정말 '무한'한 공간일까?가장 먼저 짚고 넘어갈 질문은 이것이다.우주는 무한한가, 아니면 유한하지만 끝이 없는가?과학적으로 아직 "확실한" 대답은 없다.그러나 현재의 우주론에서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모델은 ‘팽창하는 우주’다.우주는 약 138억 년 전 ‘빅뱅(.. 2025. 3. 23. 외계 생명체 가능성이 높은 행성 TOP 5 “지구는 혼자가 아닐지도 모른다”우주에는 약 2조 개의 은하가 있고, 그 안에만도 수백억 개의 별과 수조 개의 행성이 존재한다.그 방대한 공간 어딘가에, 우리처럼 ‘살아있는 무엇’이 있을 가능성은 과연 얼마나 될까?최근 수십 년간 천문학과 우주 과학은 급격히 발전했고, 수천 개의 외계 행성(Exoplanet)이 발견되었다.그중에서도 과학자들은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행성’을 선별해 집중 연구하고 있다.오늘은 그중에서도 특히 주목할 만한 5개의 행성을 소개해보려 한다.당신이 지금 이 글을 읽는 동안, 저 멀리 그곳 어딘가에서 또 다른 ‘나’가 하늘을 올려다보고 있을지도 모른다. 생명체의 조건, 그리고 선정 기준은?우선 이 행성들을 소개하기 전에 중요한 기준이 있다. 과연 어떤 조건이 ‘생명체 존.. 2025. 3. 23. 지구 밖 생명체는 존재할까? – 외계 생명체를 찾는 과학 우리가 밤하늘을 올려다보며 가장 많이 떠올리는 질문 중 하나는 바로 이것일 것이다.“과연 이 우주 어딘가에 우리처럼 살아있는 생명체가 있을까?”고대 문명부터 현대의 최첨단 과학에 이르기까지, 인간은 끊임없이 외계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을 탐색해왔다. 이는 단순한 호기심을 넘어서, 우주의 본질과 우리 존재의 의미를 되묻게 하는 중요한 질문이기도 하다. 지금부터, 인류가 외계 생명체를 어떻게 탐색해왔는지, 과학은 어떤 가능성을 보고 있는지, 그리고 우리가 앞으로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지 함께 살펴보자.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조건은?우선, 과학자들이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을 탐색할 때 가장 먼저 확인하는 것은 그 행성이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는가이다. 여기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 2025. 3. 23. 이전 1 2 3 4 ··· 9 다음